신변잡기/나의 이야기

한글 맞춤법2

거연천석 2011. 3. 18. 18:56

 

제4절 모음

 

제8항 '계, 례, 몌, 폐, 혜'의 'ㅖ' 'ㅔ'로 소리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ㅖ'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계수(桂樹)        게수

사례(謝禮)        사레

연몌(連袂)        연메

폐품(廢品)        페품

혜택(惠澤)        헤택

계집                게집

핑계                핑게

계시다             게시다

 

다만, 다음 말은 본음대로 적는다.

게송(偈頌)  게시판(揭示板)  휴게실(休憩室)

 

제9항 '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소리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ㅢ'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의의(意義)                 의이

본의(本義)                 본이

무늬(紋)                    무니

보늬                         보니

오늬                         오니

하늬바람                   하니바람

늴리리                      닐리리

닁큼                         닝큼

띄어쓰기                   띠어쓰기

씌어                         씨어

틔어                         티어

희망(希望)                히망

희다                         히다

유희(遊戱)                유히

 

 

제5절 두음 법칙

 

제10항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느을 버림.)

ㄱ                         ㄴ

여자(女子)              녀자

연세(年歲)              년세

요소(尿素)              뇨소

유대(紐帶)              뉴대

이토(泥土)              니토

익명(匿名)              닉명

 

다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에서는 '냐, 녀'음을 인정한다.

냥(兩)    냥쭝(兩-)   년(年) (몇 년)

 

[붙임 1]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남녀(男女)   당뇨(糖尿)   결뉴(結紐)   은닉(隱匿)

 

[붙임 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신여성(新女性)  공염불(空念佛)  남존여비(男尊女卑)

 

[붙임 3]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에도 붙임 2에 준하여 적는다.

한국여자대학    대한요소비료회사

 

제11항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양심(良心)            량심

역사(歷史)            력사

예의(禮儀)            례의

용궁(龍宮)            룡궁

유행(流行)            류행

이발(理髮)            리발

 

다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는 본음대로 적는다.

리(里) : 몇 리야?

리(理) : 그럴 리가 없다.

 

[붙임 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개량(改良)   선량(善良)   수력(水力)   협력(協力)   사례(謝禮)  혼례(婚禮)  

와룡(臥龍)   쌍룡(雙龍)  하류(下流)  급류(急流)  도리(道理)  진리(眞理)

다만, 모음이나 'ㄴ'받침 뒤에 이어지는 '렬, 률'은 '열, 율'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나열(羅列)                  나렬

치열(齒列)                  치렬

비열(卑劣)                  비렬

규율(規律)                  규률

분열(分裂)                  분렬

선열(先烈)                  선렬

진열(陳列)                  진렬

선율(旋律)                  선률

비율(比率)                  비률

실패율(失敗率)            실패률

전율(戰慄)                  전률

백분율(百分率)            백분률

 

[붙임 2] 외자로 된 이름을 성에 붙여 쓸 경우에도 본음대로 적을 수 있다.

신립(申砬)   최린(崔麟)   채륜(蔡倫)   하륜(河崙)

 

[붙임 3] 준말에서 본음으로 소리나는 것은 본음대로 적는다.

국련(국제연합)          대한교련(대한교육연합회)

 

[붙임 4] 접두어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또는 'ㄹ'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역이용(逆利用)    연이율(年利率)    열역학(熱力學)    해외여행(海外旅行)

 

[붙임 5]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나 십진법에 따라 쓰는 수(數)도 붙임 4에 준하여 적는다.

서울여관   신흥이발관    육천육백육십육(六千六百六十六)

 

제12항 한자음 '라, 래, 로 뢰, 루, 르'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나, 내, 노, 뇌, 누, 느'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낙원(樂園)               락원

내일(來日)               래일

노인(老人)               로인

뇌성(雷聲)               뢰성

누각(樓閣)               루각

능묘(陵墓)               릉묘

 

[붙임 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쾌락(快樂)  극락(極樂)  거래(去來)  왕래(往來)  부로(父老)  연로(年老)  지뢰(地雷)

낙뢰(落雷)  고루(高樓)  광한루(廣寒樓)  가정란(家庭欄)  동구릉(東九陵)

 

[붙임 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자 붙어서 된 단어는 뒷말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내내월(來來月)   상노인(上老人)   중노동(重勞動)   비논리적(非論理的)

 

2011년 3월 18일

 

 

도시철도 3호선 공사가 한창인데, 저 콘크리트 기둥을 어떻게든 흉물이 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해 보아야 한다.

 나의 개인적 생각은 아직 완성되기까지는 3~4년 남았으니, 기둥 근처에 흙이 있는 곳은 지금부터 담쟁이를 심어 놓으면 3~4년 뒤에는 어느 정도 콘크리트 기둥을 덮을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신변잡기 >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맞춤법4  (0) 2011.03.21
한글 맞춤법3  (0) 2011.03.19
한글 맞춤법1  (0) 2011.03.17
갓바위  (0) 2011.02.19
입춘 소회  (0) 2011.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