陳情表(진정표)
이 밀(李 密)
臣以險釁으로 夙遭愍凶하여 生孩六月에 慈父見背하고 行年四歲에 舅奪母志니이다.
신이험흔으로 수조민흉하여 생해유월에 자부견배하고 행년사세에 구탈모지니이다.
祖母劉閔臣孤弱하여 躬親撫養이니이다. 臣少多疾病하여 九歲不行하고 零丁孤苦하여
조모유민신고약하여 궁친무양이니이다. 신소다질병하여 구세불행하고 영정고고하여
至于成立하니 旣無叔伯이오 終鮮兄弟니이다. 門衰祚薄하여 晩有兒息하니
지우성립하니 기무숙백이오 종선형제니이다. 문쇠조박하여 만유아식하니
外無朞功强近之親이오 內無應門五尺之童이니이다. 煢煢孑立하여 形影相弔어늘
외무기공강근지친이오 내무응문오척지동이니이다. 경경혈립하여 형영상조어늘
而劉夙嬰疾病하여 常在牀褥하니 臣侍湯藥하여 未嘗廢離로이다.
이유숙영질병하여 상재상욕하니 신시탕약하여 미상폐리로이다.
逮奉聖朝에 沐浴淸化하여 前太守臣逵가 察臣孝廉하고 後刺史臣榮이
체봉성조에 목용청화하여 전태수신규가 찰신효렴하고 후자사신영이
擧臣秀才하니이다. 臣以供養無主로 辭不赴러니 會詔書特下하사 拜臣郞中하시고
거신수재하니이다. 신이공양무주로 사불부러니 회조서특하하사 배신낭중하시고
尋蒙國恩하여 除臣洗馬하시니 猥以微賤으로 當侍東宮이라 非臣隕首의
심몽국은하여 제신세마하시니 외이미천으로 당시동궁이라 비신운수의
所能上報니이다.
소능상보니이다.
臣具以表聞하여 辭不就職이러니 詔書切峻하여 責臣逋慢하시고 郡縣逼迫하여
신구이표문하여 사불취직이러니 조서절준하여 책신포만하시고 군현핍박하여
催臣上道하니 州司臨門이 急於星火니이다 臣欲奉詔奔馳인댄 則以劉病目篤이오
최신상도하니 주사임문이 급어성화니이다 신욕봉조분치인댄 즉이유병목독이오
欲苟順私情인댄 則告訴不許하니 臣之進退가 實爲狼狽로소니이다.
욕구순사정인댄 즉고소불허하니 신지진퇴가 실위낭패로소니이다.
伏惟聖朝가 以孝治天下하사 凡在故老라도 猶蒙矜育하니 況臣孤苦가
복유성조가 이효치천하하사 범재고노라도 유몽긍육하니 황신고고가
特爲尤甚이리니까.
특위우심이리니까.
且臣少事僞朝하여 歷職郞署하니 本圖宦達하여 不矜名節이니이다.
차신소사위조하여 역직랑서하니 본도환달하여 불긍명절이니이다.
今臣亡國之賤俘라 至微至陋어늘 過蒙拔擢하니 豈敢盤桓하여 有所希冀리니까?
금신망국지천부라 지미지루어늘 과몽발탁하니 기감반환하여 유소희기리니까?
但以劉가 日薄西山하여 氣息奄奄하니 人命危淺하여 朝不慮夕이니이다. 臣無祖母면
단이유가 일박서산하여 기식엄엄하니 인명위천하여 조불려석이니이다. 신무조모면
無以至今日이오 祖母無臣이면 無以終餘年이니 母孫二人이 更相爲命이니이다.
무이지금일이오 조모무신이면 무이종여년이니 모손이인이 갱상위명이니이다.
顧以區區하여 不能廢遠이로소이다. 臣密은 今年四十有四오 祖母劉는
원이구구하여 불능폐원이로소이다. 신밀은 금년사십유사오 조모유는
今九十有六이니 是臣盡節於陛下之日은 長하고 報劉之日 短也니이다.
금구십유육이니 시신진절어폐하지일은 장하고 보유지일 단야니이다.
烏鳥私情이 願乞終養하노니 臣之辛苦는 非獨蜀之人士와 及二州牧伯의
오조사정이 원걸종양하노니 신지신고는 비독촉지인사와 급이주목백의
所見明知니이다. 皇天后土가 實所共鑑이시니이다.
소견명지니이다. 황청후토가 실소공감이시니이다.
願陛下는 矜憫愚誠하사 聽臣微志하여 庶劉僥倖하여 卒保餘年이면 臣生當隕首요
원폐하는 긍민우성하사 청신미지하여 서유요행하여 졸보여년이면 신생당운수요
死當結草리이다. 臣不勝怖懼之情하여 謹拜表以聞하노이다.
사당결초리이다. 신불승포구지정하여 근배표이문하노이다.
저는 불행하게도 일찍이 부모를 잃어, 생후 6개월 된 갓난 아이 때 아버님과 사별(死別)하였고 나이 네 살 때 외삼촌이 어머니의 수절(守節)하려는 뜻을 빼앗아 버렸습니다. 조모(祖母) 유씨(劉氏)께서 제가 고아가 되고 몸이 약한 것을 불쌍히 여기시어 몸소 어루만지며 키워주셨습니다. 저는 어릴 적에 병이 많아서 아홉 살이 되어도 걷지 못했고, 외롭고 쓸쓸하게 홀로 고생하면서 성인(成人)이 되었습니다. 제게는 숙부(叔父)나 백부(伯父)도 없고 형제도 없습니다. 가문이 쇠퇴하고 박복(薄福)해서 늦게서야 자식을 두었으니, 밖으로는 기복(朞服)이나 공복(功服)을 입을 만한 가까운 친척도 없고 안으로는 문 앞에서 손님을 응대할 어린 시동(侍童) 하나 없습니다.
지금의 조정(朝廷)을 받들게 되면서 맑은 교화(敎化)를 온 몸에 입고 있습니다. 전의 태수(太守)인 가규(賈逵)는 저를 효렴(孝廉)으로 발탁하였고, 후에 자사(刺史)인 고영(顧榮)은 저를 수재(秀才)로 천거해 주셨습니다. 그러나 저는 조모(祖母)의 공양을 맡아줄 사람이 없어서 사퇴하고 부임하지 않았는데, 마침 조서(詔書)가 특별히 내려져서 저를 낭중(郎中)으로 임명하였고, 얼마 안 있어 나라의 은혜를 입어 저에게 선마(洗馬)의 벼슬이 내려졌습니다. 외람되게도 미천한 몸으로 동궁(東宮)을 모시게 되니 제가 목을 바친다 해도 그 은혜를 다 보답할 수 없을 겁니다.
저는 사정을 모두 아뢰는 표(表)를 올리고 사퇴하여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습니다. 다시 조서(詔書)를 내리시어 절실하고도 준엄하게 제가 책임을 회피하고 태만함을 책망하고, 군(郡)과 현(縣)에서는 다그쳐서 제가 길을 떠나도록 재촉하여, 주(州)의 관리들도 문에 와서는 성화(星火)같이 서두르고 있습니다.
제가 조서(詔書)를 받들어 빨리 달려가고 싶지만 조모(祖母) 유씨(劉氏)의 병환이 날로 위독하고, 구차히 개인의 사정을 따르고자 하여 하소연해도 들어주지 않으니 제가 벼슬길에 나아가야 하는지 물러나야 하는지 참으로 낭패(狼狽)입니다.
엎드려 생각하옵건대 지금의 조정(朝廷)은 효도로써 천하를 다스려서 모든 노인들이 동정을 받아 양육되고 있습니다. 하물며 저는 홀로 고생하는 것이 남보다 더욱 심하니 말할 것도 없습니다.
또한, 저는 젊었을 때 위조(僞朝)인 촉(蜀)나라를 섬겨 낭서(郎署)에서 근무하였습니다. 본래 출세하기를 바랐을 뿐, 명예나 절개도 중히 여기지 않았습니다. 지금 저는 망국(亡國)의 천한 포로로 지극히 미천하고 지극히 비루한데도 과분하게 발탁되니 어찌 감히 주저하며 바라는 것이 있겠습니까! 단지 조모(祖母) 유씨(劉氏)가 마치 해가 서산에 지려는 것처럼 숨이 곧 끊어지려고 하여 사람의 목숨이 위태로우니 아침에 저녁일이 어찌 될지 알 수 없습니다. 저는 조모(祖母)가 없었더라면 오늘에 이를 수 없었을 것이며 조모(祖母)께서는 제가 없으면 여생(餘生)을 마칠 수 없을 터이니, 조모(祖母)와 손자 두 사람이 서로 목숨을 의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 까닭에 소심하여져서 놔두고 멀리 떠날 수가 없습니다. 신 밀(密)은 금년에 나이 44 세이고, 조모(祖母) 유씨(劉氏)는 금년에 연세가 96 세입니다. 그러니, 제가 폐하(陛下)께 충성을 다할 날은 길고 유씨(劉氏)께 은혜를 보답할 날은 짧습니다.
까마귀가 어미 새의 은혜를 보답하려는 마음으로 조모(祖母)가 돌아가시는 날까지 봉양하게 해 주십시오. 저의 괴로움은 촉(蜀)의 인사(人士)들만이 아니라 양주(梁州)와 익주(益州) 두 주(州)의 장관들도 훤히 아는 바이며 천지신명께서 실로 모두 보고 있는 바입니다.
원하옵건대, 폐하께서는 어리석은 저의 정성을 가엾게 여기시어, 저의 작을 뜻을 들어 주십시오. 제가 바라는 것은 조모(祖母) 유씨(劉氏)께서 다행히 여생을 끝까지 보전하게 된다면 제가 살아서는 목숨을 바쳐 충성하고 죽어서는 결초보은(結草報恩)하려는 것입니다. 저는 두려운 마음을 이기지 못해 삼가 재배(再拜)하고 표(表)를 올려 아뢰는 바입니다.
**예로부터 『출사표(出師表)』를 읽고 눈물을 흘리지 않는 사람은 충신(忠臣)이 아니고, 「진정표(陳情表)」를 읽고 눈물을 흘리지 않는 사람은 효자(孝子)가 아니라고 하였다. 그렇듯 이 글에서는 구십이 넘은 조모를 위하는 지극한 효심이 구절구절에 스며 있다.
*현토 *번역 *해의: 김 학 주
*낭패(狼狽): 狼: 앞다리가 길고 뒷다리가 짧은 이리 狽:앞다리가 짧고 뒷다리가 긴 이리
낭패의 어의는 전설상의 두 동물 모습에서 추측은 할 수 있으나 올바른 결론이라 하기엔 부족하다
그러나 서로의 결점을 가진 존재들이 함께할 때 발생하는 곤란한 상황을 나타내는 것은 분명하다
*생당운수(生當隕首) , 사당결초(死當結草)
*오조사정(烏鳥私情), 반포지효(反哺之孝)
*조불려석(朝不慮夕), 명재조석(命在朝夕)
'한시.한문 음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획린해(獲麟解) (0) | 2025.01.18 |
---|---|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 (1) | 2025.01.05 |
고목후주(枯木朽株) (1) | 2024.12.31 |
주덕송(酒德頌) (0) | 2024.12.29 |
낙지론(樂志論) -중장통(仲張統)- (0) | 2024.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