泛駕之馬도 可就驅馳하며 躍冶之金도 終歸型範하나니 只一傷游不振하면 便終身
범가지마도 가취구치하며 약야지금도 종귀형범하나니 지일상유부진하면 변종신
無個進步니라 白沙云爲人多病未足羞라 一生無病是吾憂라하니 眞確論야로다
무개진보니라 백사운위인다병미족수라 일생무병시오우라하니 진확논야로다
번 역
수레를 뒤집는 사나운 말도 길드리면 능히 부릴 수 있으며 <다루기 힘든 金>도 잘 다루면 마침내 좋은 器物을 만들 수 있다. 사람이 하는 일 없이 놀기만하고 奮發함이 없으면 平生에 아무런 進步도 없으리라. 陳白沙가 이르기를 <사람됨이 病많음은 족히 부끄럽지 않으나 일생토록 病 없음이 나의 근심이다>하였으니 참으로 確論이다.
해 의
사나운 말도 일생토록 길드리면 부릴수 있고 다루기 힘든 金도 能熟하게 녹히면 器物을 만들 수 있으니 아무리 못된 사람일지라도 奮發하여 鍛鍊하면 쓰임이 있지 않겠느냐. 일찍 斷念하거나 너무 自卑하여 일생을 훙뚱거리고 놀기만 하면 마침내 아무런 進步도 없을 것이다. 사람이 病 많은 것은 天稟이 虛弱하여 그렇겠지만 一生토록 인생에 대한 煩憫이 없는 것은 얼마나 부끄럽고 슬픈 일인가 <泛駕之馬>는 수레를 엎는 말이란 뜻이오 <躍冶之金>은 도가니에 녹혀서 鑄型에 넣기에 힘이 드는 金이란 뜻이니 莊子에 나오는 말이다. 白沙는 陳白沙니 중국 明나라 때 학자, 이름을 獻章이라 하고 字는 公甫 石齊라고 號하였다. 白沙에 隱居하며 학문을 講하였으므로 門人들이 白沙先生이라 하였다.
<번역 해의 - 조지훈>
'다시 읽고픈 글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근담 - 修省편 (0) | 2012.08.15 |
---|---|
채근담 - 修省편 (0) | 2012.07.01 |
이름 없고 지위 없는 즐거움 - 채근담 수성편 (0) | 2012.06.08 |
가장 오래 가는 꽃 - 채근담 修省편 (0) | 2012.05.19 |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그대에게 (0) | 2012.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