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우리집 문앞을 지나가면서도 우리집에 들어오지 않아도 내가 유감스럽게 여기지 않는 자는 오직 자기 고을에서만 착한 체하는 자일 것이다. 자기 고을에서만 착한 체하는 자는 덕을 해치는 자이기 때문이다.'고 하셨네." "어떤 경우에 자기 고을에서만 착한 체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까?" "과격한 사람들에 대하여는, '어째서 크게 떠벌이기만 하는가? 하는 말은 행동에 부합되지 않고, 하는 행동은 말과 부합되지 않으면서도, 곧 옛분들은, 옛분들은 하고 떠들기만 한다'고 비평하고, 고집이 센 사람들에 대하여는, 행동이 어째서 홀로 가기만 하고 남과 친하지는 않는가? 이 세상에 살고 있으니 이 세상을 위함으로써 훌륭하다고 인정 받으면 되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그리고 자기 속마음은 감춰둔 채 세상에 대하여 아첨을 하고 있는 자가, 자기 고을에서만 착한 체하는 자들일세."
만장이 다시 질문하였다. "한 고을 사람들이 모두가 착한 사람이라 한다면 어디를 가나 착한 사람이 아닐 수가 없지 않습니까? 공자께서는 그를 덕을 해치는 자라고 하셨으니, 어째서입니까?" "그를 비난하려 해도 이렇다 지적할 것이 없고, 그를 공격하려 해도 이렇다 공격할 것이 없네. 세상 습속과 같이 행동하고 더러운 세상과 합치되게 행동하여, 그의 처신은 충실하고 신의가 있는 듯하고, 그의 행위는 청렴하고 깨끗한 것 같아서, 사람들 모두가 그를 좋아하고 그 자신도 올바르다고 여기고 있네. 그러나 그들은 堯舜의 도에는 함께 들어갈 수가 없는 자들이니, 그래서 덕을 해치는 자라고 한 것일세.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비슷하기만 하고 진짜가 아닌 것을 싫어한다 가라지풀을 미워하는 것은 그것이 곡식 싹과 혼동될까 두렵기 때문이다. 정(鄭)나라 음악을 미워하는 것은 그것이 바른 음악과 혼동될까 두렵기 때문이다. 자주빛을 미워하는 것은 그것이 붉은색과 혼동될까 두렵기 때문이다.'고 하셨네. 군자는 원칙으로 돌아갈 따름인 것이네. 원칙이 바르다면 서민들이 흥성하게 되고, 서민들이 흥성하면 전혀 사악함이란 없게 되는 것일세."
<원 문>
孔子曰 : 過我門而不入我室, 我不憾焉者, 其惟鄕原乎! 鄕原德之賊也. 曰 : 何如, 斯
공자왈 : 과아문이불인아실, 아불감언자, 기유향원호! 향원덕지적야. 왈 : 하여, 사
可謂之鄕原矣? 曰 : 何以是嘐嘐也? 言不顧行, 行不顧言, 則曰 : 古之人! 古之人! 行
가위지향원의? 왈 : 하이시효효야? 언불고행, 행불고언, 즉왈 : 고지인! 고지인! 행
何爲踽踽凉凉? 生斯世也, 爲斯世也, 善斯可矣. 閹然媚於世也者, 是鄕原也. 萬章
하위우우량량? 생사세야, 위사세야, 선사가의. 엄연미어세야자, 시향원야. 만장
曰 : 一鄕皆稱原人焉, 無所往而不爲原人. 孔子以爲德之賊, 何哉? 曰 : 非之無擧也,
왈 : 일향개칭원인언, 무소왕이불위원인. 공자이위덕지적, 하재? 왈 : 비지무거야,
刺之無刺也. 同乎流俗, 合乎汚世 ; 居之似忠信, 行之似廉絜, 衆皆悅之. 自以爲是,
자지무자야. 동호류속, 합호오세 ; 거지사충신, 행지사염혈, 중개열지. 자이위시,
而不可與入堯舜之道. 故曰 : 德之賊也. 孔子曰 : 惡似而非者. 惡수, 恐其亂苗也 ;
이불가여입요순지도. 고왈 : 덕지적야. 공자왈 : 악사이비자. 악수, 공기란묘야 ;
惡佞, 恐其亂義也 ; 惡利口, 恐其亂信也 ; 惡鄭聲, 恐其亂樂也 ; 惡紫, 恐其亂朱也 ;
악녕, 공기란의야 ; 악이구, 공기란신야 ; 악정성, 공기란락야 ; 악자, 공기란주야 ;
惡鄕原, 恐其亂德也. 君子反經而已矣. 經正, 則庶民興 ; 庶民興, 斯無邪慝矣.
악향원, 공기란덕야. 군자반경이이의. 경정, 즉서민흥 ; 서민흥, 사무사특의.
<해 설>
공자는 위선자(僞善者)를 가장 싫어했다. 겉으로만 올바른체 행동하여 사람들의 환심을 사고 있는 자가 향원(鄕原)이다. 따라서 공자는 향원을 싫어함을 강조하여 말하고 있는 것이다. 향원은 사이비(似而非) 선자(善者)이기 대문이다. 맹자도 말할 것도 없이 공자와 생각이 같았다.
앞에서 공자는 군자 다음으로는 성격이 과격한 광자(狂者)와 고집이 센 견자(狷者)를 좋아한다고 하였는데, 이들은 적어도 위선적인 행동은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들의 단점은 자기 소신에 너무 철저하다는 것인데, 이런 사람들은 잘 가르치어 소신만을 올바로 갖도록 이끌어 주면 어떤 사람들보다도 인의에 철저한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번역 해설 김학주>
'한시.한문 음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大學) - 평천하(平天下)와 혈구지도(絜矩之道) (0) | 2013.03.08 |
---|---|
맹자의 仁者無敵 (0) | 2013.02.23 |
지식인의 사회적 책임 - 맹자 진심장구 상 (0) | 2013.01.25 |
큰 인물이 되고 좋은 나라가 되는 길 - 孟子 告子章句 下 (0) | 2013.01.18 |
맹자 이야기 - 우언(寓言)1 (0) | 2012.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