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居易(백거이)
竹似賢하니 何哉오? 竹本固하니 固以樹德이라. 君子見其本이면 則思善建不拔者라.
죽사현하니 하재오? 죽본고하니 고이수덕이라. 군자견기본이면 즉사선건불발자라.
竹性直하니 空以軆道라. 君子見其心이면 則思應用虛受者라. 竹節貞하니 貞以立志라.
죽성직하니 공이체도라. 군자견기심이면 즉사응용허수자라. 죽절정하니 정이입지라.
君子見其節이면 則思砥礪名行하여 夷險一致者라. 夫如是故로 君子人多樹之하여 爲
군자견기절이면 즉사지려명행하여 이험일치자라. 부여시고로 군자인다수지하며 위
庭實焉이라.
정실언이라.
貞元十九年春에 居易以拔萃選及第하여 授校書郞이라. 始於長安에 求假居處하여 得
정원십구년춘에 거이이발췌선급제하여 수교서랑이라. 시어장안에 구가거처하여 득
常樂里故關相國私第之東亭而處之라. 明日屨及于亭之東南隅하여 見叢竹於斯하니 枝
상락리고관상국사제지동정이처지라. 명일구급우정지동남우하여 견총죽어사하니 지
葉殄瘁하여 無聲無色이라. 自相國捐館으로 他人假居하여 繇是筐篚者斬焉하며 篲箒
엽진췌하여 무성무색이라. 자상국연관이로 타인가거하여 요시광비자참언하며 수추
者刈焉하여 刑餘之材가 長無尋焉이오 數無百焉이라. 又有凡草木이 雜生其中하여 笨
자예언하여 형여지재가 장무심언이오 수무백언이라. 우유범초목이 잡생기중하여 분
䔿薈蔚하여 有無竹之心焉이라.
준회울하여 윰무죽지심언이라.
居易惜其甞經長者之手요 而見賤俗人之目하여 翦棄若是나 本性猶存이라. 乃刪翳薈하
거이석기상경장자지수요 이견천속인지목하여 전기약시나 본성유존이라. 내산예회하
며 除糞壤하고 疏其間하며 封其下하되 不終日而畢이라. 於是日出有淸陰하고 風來有
며 제분양하고 소기간하며 봉기하하되 부종일이필이라. 어시일출유청음하고 풍래유
淸聲하여 依依然欣欣然하여 若有情於感遇也러라.
청성하여 의의연흔흔연하여 약유정어감우야러라.
嗟乎라! 竹植物也라. 於人何有哉리오? 以其有似於賢일새 而人猶愛惜之하며 封植之
차호라! 죽식물야라. 어인하유재리오? 이기유사어현일새 이인유애석지하며 봉식지
하니 況其眞賢者乎아? 然則竹之於草木에 猶賢之於衆庶라. 嗚呼라! 竹不能自異요 惟
하니 황기진현자호아? 연즉죽지어초목에 유현지어중서라. 오호라! 죽불능자이요 유
人異之라. 賢不能自異요 惟用賢者異之니라. 故作養竹記하여 書于亭之壁하여 以貽其
인이지라. 현불능자이요 유용현자이지니라. 고작양죽기하여 서우정지벽하여 이태기
後之居斯者하고 亦欲以聞於今之用賢者云이라.
후지거사자하고 역욕이문억슴지용현자운이라.
대나무는 현명한 사람과 비슷한데, 왜 그런가? 대나무 뿌리는 단단하여, 단단함으로써 덕을 세우고 있다. 군자는 그 뿌리를 보면 곧 뽑히지 않는 훌륭한 덕을 세울 것을 생각하게 된다. 대나무의 성질은 곧아서, 곧음으로써 자신의 몸을 세우고 있다. 군자는 그 성질을 보면 곧 어느 편에도 의지하지 않는 마음이 서게 할 것을 생각하게 된다. 대나무 속은 비어서, 비어 있음으로써 도를 체득하고 있다. 군자는 그 빈 속을 보면 곧 자기 마음을 비우고 남을 받아들이는 방법을 응용할 것을 생각하게 된다. 대나무 마디는 곧아서, 곧음으로써 뜻을 새우고 있다. 군자는 그 마디를 보면 곧 자기 이름과 행실을 갈고 닦아서 순경(順境)에서나 험경(險境)에서나 한결 같을 것을 생각하게 된다. 이러하기 때문에 군자들이 이것을 많이 심어 정원수로 삼고 있는 것이다.
정원(貞元) 19년 봄에 발췌과(拔萃科)에 급제(及第)하여 교서랑(校書郞) 벼슬이 제수되었다. 처음 장안(長安)에 와서 빌려 살 곳을 구하다가 상락리(常樂里)의 작고하신 관상국(關相國) 사저(私邸)의 동쪽 정자에 거처하게 되었다. 다음 날 정자의 동남쪽 모퉁이로 산책을 나갔다가 거기에 대나무 숲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가지와 잎새가 말라 죽어 볼품이라고는 전혀 없었다. 관상국 댁의 늙은 하인에게 물어보니 이렇게 대답하였다. “이것들은 관상국께서 손수 심었던 것입니다. 관상국께서 집을 내어놓아 다른 사람이 살게 되었는데, 이 때부터 광주리를 만드는 자들이 베어가기도 하고 빗자루를 만드는 자들이 잘라 가고 하여, 형벌을 받듯 잘리고 난 나머지 대나무들에는 반발 길이로 자란 것도 없고 그 수도 백이 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또 뭇 풀과 나무들이 그 속에 섞여 나서 무성히 잡생하게 되어 대나무는 없어진 듯한 마음까지 갖게 하는 형편이 되었습니다.”
나는 이것들이 일찍이 훌륭한 분의 손을 거쳤으나 천하고 속된 사람들의 눈에 띄어 이처럼 잘려지고 버려지게 되었으나 그 본성만은 그대로 보존되고 있음이 애석하였다. 이에 무성한 초목은 잘라내고 더러운 흙은 긁어내고 대나무 사이를 띄워주고 그 아래 흙을 북돋아 주었는데, 하루가 다가지 전에 일을 끝내었다. 이렇게 하여 해가 뜨면 맑은 그늘이 생기고 바람이 불어오면 맑은 소리가 들리며, 휘청휘청 기쁜 듯하여, 마치 감정이 있어 은덕에 감사하고 있는 듯하였다.
아아! 대나무는 식물이다. 사람과 무슨 상관이 있는가? 대나무가 현명한 사람과 비슷하다고 해서 사람들은 그것을 사랑하고 아끼면서 심고 북돋아 주고 있으니, 하물며 진정 현명한 사람에 대하여야 어떠하겠는가? 그러니 대나무를 보통 풀과 나무에 비긴다면 마치 현명한 사람과 보통 사람들을 견주는 것과 같은 것이다. 아아! 대나무는 스스로 기이함을 나타낼 수가 없는데도 사람들이 그것을 기이하게 대해주고 있다. 현명한 사람도 스스로 기이함을 나타낼 수는 없는 것이고 오직 현명한 사람을 등용해야할 사람이 그를 기이하게 해주어야 한다. 그러므로「양죽기」를 지어 정자의 벽에 써 놓아 뒤에 여기에 살게 될 사람들에게 남겨주고, 또 그럼으로써 지금의 현명한 사람을 등용해야 할 사람들에게도 이 뜻이 알려지도록 하려는 것이다.
*현토 번역 해의* -김 학 주-
*매 ,난 ,국, 죽 이라 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사군자로 일컫는 바, 중국의 문인들 의식 속에 자리잡고 있는 사군자(四君子) 중의 하나인 대나무에 대한 의식을 풀어 놓은 글이라 생각된다.
'한시.한문 음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送李愿歸盤谷序(송이원귀반곡서) (0) | 2025.02.02 |
---|---|
伯夷頌(백이송) (0) | 2025.02.01 |
획린해(獲麟解) (0) | 2025.01.18 |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 (1) | 2025.01.05 |
진정표(陳情表) (2) | 2025.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