居卑而後에 知登高之爲危하고 處晦而後에 知向明之太露하며 守靜而後에 知好動
거비이후에 지등고지위위하고 처회이후에 지향명지태로하며 수정이후에 지호동
之過勞하고 養默而後에 知多言之爲躁니라
지과로하고 양묵이후에 지다언지위조니라
번 역
낮은 데 살아야 높은 곳 오르기가 위태한 줄 알 것이요, 어두운 데 있은 후에 밝은 곳 향함이 눈부심을 알 것이며 고요함을 지켜 보아야 움직임 좋아함이 부질 없음을 알 것이요, 말 없음을 닦아 보아야 말 많음이 시끄러운 줄 알 것이다.
해 의
낮은 데 있으면 떨어질 위험이 없고 어두운 데 있으면 눈이 부실 까닭이 없으며 고요히 살면 부질없은 노고가 없을 것이요 말이 없으면 실언이 있을 리 없다. 높은 데 올라 봐야 낮은 곳이 편함을 알 것이요 말 많이 한 뒤에 침묵이 金임을 안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높데서는 스스로 낮추어야 하고 말 많을 때에는 말을 절제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事後의 뉘움침을 事前에 깨닫는 것이 더 좋은지라 낮고 어둡고 고요하고 말 없음이 진미인 줄 알라는 뜻이다.
<번역 해의 - 조지훈>
若升高必自下(약승고필자하)
若陟遐必自邇(약척하필자이)
書經에 나오는 말로
높이 오를 때는 반드시 밑에서부터 시작하고,
멀리 갈 때에는 반드시 가까운데서부터 시작하는 것과 같이 하십시요!
또는
登高自卑(등고자비)
行遠自邇(행원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