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한다는 연목구어(緣木求魚)는 사자성어(四字成語)로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抑王興甲兵, 危士臣, 構怨於諸侯, 然後快於心與? 王曰 : 否! 吾何快於是? 將以求
억왕흥갑병, 위사신, 구원어제후, 연후쾌어심여? 왕왈 : 부! 오하쾌어시? 장이구
吾大欲也. 曰 : 王之所大欲, 可得聞與? 王笑而不言. 曰 : 爲肥甘不足於口與? 輕煖
오대욕야. 왈 : 왕지소대욕, 가득문여? 왕소이불언. 왈 : 위비감부족어구여? 경난
不足於體與? 抑爲采色不足視於目與? 聲音不足聽於耳與? 便嬖不足使令於前與?
부족어체여? 억위채색부족시어목여? 성음부족청어이여? 편폐부족사령어전여?
王之諸臣, 皆足以供之, 而王豈爲是哉? 曰 : 否! 吾不爲是也. 曰 : 然則王之所大欲,
왕지제신, 개족이공지, 이왕기위시재? 왈 : 부! 오불위시야. 왈 : 연즉왕지소대욕,
可知已. 欲辟土地, 朝秦楚, 莅中國而撫四夷也. 以若所爲, 求若所欲, 猶緣木而求魚
가지이. 욕벽토지, 조진초, 리중국이무사이야. 이약소위, 구양소욕, 유연목이구어
也
야
< 번 역>
"그런데 임금님께서는 전쟁을 일으키시어 백성과 신하를 위태롭게 하여 제후들과 원한을 맺은 뒤에야 마음이 흔쾌하시겠습니까?"
왕이 말하였다. "아닙니다. 내 어찌 그런 일로 흔쾌하겠습니까? 장차 나의 큰 욕망을 추구하려는 거지요."
"임금님의 큰 욕망에 대하여 들어불 수 있겠습니까?"
왕은 웃으면서 대답하지 않았다.
"살지고 맛있는 음식이 입에 부족하십니까? 가볍고 따스한 옷이 몸에 부족하십니까? 그렇지 않다면 채색이 눈으로 보시기에 부족하십니까? 소리가 귀로 들으시기에 부족하십니까? 가까이 총애하는 사람들이 앞에 놓고 부리시기에 부족하십니까? 임금님의 여러 신하들이 모두 충분히 그런 것들은 공급해 드리고 있습니다. 그러니 임금님께서야 어찌 그런 것을 바라시겠습닊까?"
"아니지요! 나는 그런 것을 바라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임금님의 큰 욕망은 알 수가 있습니다. 나라 땅을 넓히고 진(秦)나라와 초(楚)나라를 내조(來朝)케 하여 중국에 군림하고 사방의 오랑캐들을 굴복시키는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처럼 하는 것으로서 그러한 욕망을 추구한다는 것은 마치 나무에 올라가 물고를 잡으려는 거나 같습니다."
<번역 김학주>
'한시.한문 음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심보감 - 정기편(正己篇)--(1) (0) | 2013.07.21 |
---|---|
명심보감 - 交友(벗을 사귐) (0) | 2013.05.31 |
대학(大學) - 평천하(平天下)와 혈구지도(絜矩之道) (0) | 2013.03.08 |
맹자의 仁者無敵 (0) | 2013.02.23 |
공자가 미워한 인간 - (僞善者) - 맹자 진심장구 하 (0) | 2013.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