歐陽永叔謂梅聖俞曰; 世謂詩能窮人이라하나 非詩之窮이요 窮則工也라. 聖俞以詩名家나 仕不前人하고 年不後人하니 可
구양영숙위매성유왈; 세위시능궁인이라하나 비시지궁이요 궁즉공야라. 성유이시명가나 사부전인하고 년불후인하니 가
謂窮矣로다. 其同時有王平甫者하니 臨川人也라. 年過四十에 始名薦書群下士러니 歷年未幾에 復解章綬歸田里라. 其窮甚
위궁의로다. 기동시유왕평보자하니 임천인야라. 년과사십에 시명천서군하사러니 역년미기에 부해장수귀전리라. 기궁심
矣로되 而文義蔚然하고 又能於詩라. 惟其窮愈甚故로 其得愈多하니 信所謂人窮而後工也니라.
의로되 이문의울연하고 우능어시라. 유기궁유심고로 기득유다하니 신소위인궁이후공야니라.
雖然이나 天地命物에 用之不全하여 實者不華하고 淵者不陸이라. 物之不全은 物之理也라. 盡天下之美면 則於富貴에 不
수연이나 천지명물에 용지불전하여 실자불화하고 연자불륙이라. 물지부전은 물지리야라. 진천하지미면 즉어부귀애 부
得兼而有也니 詩之窮人을 又可信矣라. 方平甫之時에 其志抑而不伸하고 其才積而不發하여 其號位勢力不足動人이로되
득겸이유야니 시지궁인을 우가신의라. 방평보지시에 기지억이불신하고 기재적이불발하여 기호위세력부족동인이로되
而人聞其聲하고 家有其書하여 旁行於一時하고 而下達於千世라. 雖其怨敵이라도 不敢議也니 則詩能達人矣요 未見其窮
이인문기성하고 가유기서하여 방행어일시하고 이하달어천세라. 수기원적이라도 불감의야니 즉시능달인의요 미견기궁
也로다.
야로다.
夫士之行世에 窮達不足論이오 論其所傳而已라. 平甫孝悌于家하고 信于友하고 勇於義而好仁하니 不特文之可傳也니라.
부사지행세에 궁달부족론이오 논기소전이이라. 평보효제우가하고 신우우하고 용어의이호인하니 불특문지가전야니라.
向使平甫로 用力于世하여 薦聲詩于郊廟하며 施典策於朝廷이라도 而事負其言하고 後戾其前이면 則幷其可傳而棄之리라.
향사평보로 용력우세하여 천성시우교묘하며 시전책어조정이라도 이사부기언하고 후려기전이면 즉병기가전이기지리라.
平生之學이 可謂勤矣요 天下之譽가 可謂盛矣어늘 一朝而失之면 豈不哀哉아? 南豊先生이 旣叙其文하여 以詔學者러니
평생지학이 가위근의요 천하지예가 가위성의어늘 일조이실지면 기불애재아? 남풍선생이 기서기문하여 이조학자러니
先生之沒에 彭城陳師道가 因而伸之하여 以通于世라. 誠愚不敏이니 其能使人으로 後其所利而隆其所棄者耶아? 因先生之
선생지몰이 팽성지사도가 인이신지하여 이통우세라. 성우불민이니 기능사인으로 후기소리이융기소기자야아? 인선생지
言하여 以致其志하고 又以自勵云爾라.
언하여 이치기지하고 우이자려운이라.
번역 - 이 장 우
구양수가 매요신을 두고 이렇게 말하였다. "사람들은 시가 사람을 궁하게 한다지만, 시가 궁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궁하면 시를 잘 짓게 되는 것이다" 매요신은 시로써 유명한 작가로 벼슬로는 남보다 앞서지 못하고, 나이로는 남보다 뒤지지 못했으니, 궁한 사람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와 같은 때에 왕안국이란 사람이 있었는데, 임천 사람이다. 나이 사십이 넘어서 비로소 그의 이름이 천거되어 하급 관리 속에 끼었으나, 몇 해 지나지 않아 다시 벼슬을 버리고 고향 마을로 돌아왔으니, 그의 궁함이 대단하였으나 그의 문장은 뜻이 훌륭하였고, 또 시에도 능했다. 그는 궁함이 더욱 심해졌기 때문에 그의 문학적 소득은 더욱 많아졌다 하니, "사람이 궁해진 뒤에야 글을 잘 짓게 된다"는 것을 믿을 수 있겠다. 비록 그러하나 천지가 만물에 명을 부여함에 있어서는 그 쓰임이 완전하지 않게 하였으니, 충실한 것은 화려하지 않고 연못에 사는 것은 땅위에서 살지 못한다. 만물이 완전하지 않다는 것은 만물의 이치인 것이다. 천하의 아름다운을 다 표현했다 해도 부귀까지도 겸비할 수는 없는 것이니, 시가 사람을 궁하게 한다는 것을 또한 믿어야 할 것이다. 왕안국은 그의 시대에 그의 뜻이 억눌려 펴 보지 못하고 그의 재능을 쌓아 둔 채 펴지 못하여, 명성과 지위와 세력이 사람들을 움직일 만하지 못했지만, 사람들이 그의 목소리를 듣게 되고 집집마다 그의 글이 있어서, 한때 널리 유행되어 아래로 천 세대에 이를 것이니, 비록 그의 원수라 할지라도 감히 그를 비판하지 못할 것이다. 곧 시는 사람을 통달케 할 수 있지만, 그의 궁함은 돌보지 못하는 것이다. 왕안국은 집에서는 효도하고 우애가 있고, 친구들 사이에는 신의가 있고, 의로운 일에는 용감하고 어짊을 좋아하니, 오직 문장만이 전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만약에 왕안국이 세상일에 힘을 써서 교묘에서는 노래를 연주하며 돕고, 조정에서는 국법과 왕명을 시행했더라도, 하는 일이 그의 말과 어긋나고 뒤와 앞이 어그러진다면, 곧 전해질 만해도 버릴 것이다. 평생 학문에 근면했다고 할 수 있고, 천하의 명예가 왕성했다고 할 수 있으나, 하루아침에 그것들을 잃게 된다면 어찌 슬프지 않겠는가? 남풍선생께서 이미 그의 글에 서문을 써서 학자들에게 사실을 알려주었는데, 선생께서 돌아가셨기에, 팽성의 진사도가 그것을 근거로 설명을 덧붙여 세상에 알려지게 하려는 것이다. 진실로 어리석고 총명하지 않은 사람이 어찌 사람들도 하여금 그에게 이로운 것을 뒤로 미루고 그가 버리는 것을 존중하게 할 수가 있겠는가? 선생님의 말씀을 근거로 그의 뜻을 드러내 주고 또 스스로를 독려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해설 - 김 학 주 -
왕안석(王安石)의 동생 왕안국(王安國)의 문집 앞과 증공(曾鞏)의 서문 뒤에 작자가 덧붙여 쓴 서문임. 왕안국의 시와 글의 특징 뿐만이 아니라 그의 사람됨도 짧은 글 중에 잘 드러나 있다. 더우기 왕안국의 형은 당시에 군림하던 유명한 정치가요 문학가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형에 대하여는 한 마디 엄급도 없는 것이 두드러진다. 글을 쓴 진사도도 왕안국과 같은 깨끗함과 강직함을 지닌 인물이었음을 느끼게 한다.
'한시.한문 음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덕송(酒德頌) (0) | 2024.12.29 |
---|---|
낙지론(樂志論) -중장통(仲張統)- (0) | 2024.12.25 |
악양루기(岳陽樓記) -범 중 엄(范仲淹)- (0) | 2024.08.17 |
엄선생사당기(嚴先生祠堂記)-범중엄(范仲淹) (1) | 2024.07.28 |
맹자 이루장구 상 (2) | 2023.08.24 |